로그인해 주세요
앤써구독신청
 
G500신청
 
G500 프리미엄신청
 
휴지통신청
무료신청
앤써 지정배포처
뉴스&이슈
앤써 최신기사
과거로 미래를 키워내다 -...
역사를 잃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던가.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과거의 실수를...
나를 자라게 만든 한 권의 책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 했다. 사회 곳곳에서 창의사고력이 요구되는 오늘날, 자녀의 독...
명문대 합격생의 노하우 공...
엄마의 백 마디 조언보다 동경했던 선배의 한 마디가 더 가슴에 와 닿는 게 아이들이다...
인기기사
교육뉴스
占쏙옙占쏙옙 > 교육뉴스
영어 학술단체들 “수능 영어 절대평가, 학교 영어교육 부실화 초래” 작성일 : 18.08.06(월)
글쓴이 answer hit:14907
영어 학술단체들 “수능 영어 절대평가, 학교 영어교육 부실화 초래”

 

영어 관련 학회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 절대평가에 대해 “학교 영어교육의 부실화를 낳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한국영어교육학회 등 영어 관련 학술단체 24개가 연합한 ‘한국영어관련학술단체협의회’는 입장문을 내고 “2022년 대입 이후에도 다른 과목과는 별도로 절대평가가 영어에만 적용될 경우 초래하게 될 심중한 결과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교 교육 정상화와 사교육비 감소를 위해 수능 절대평가제도가 도입됐는데 현재 같은 기초과목군에 속하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 중 영어만 절대평가가 시행되고 있다”며 “수능 영어 절대평가는 학교 교육 정상화와 사교육비 감소라는 근본 취지가 무색하게 학교 영어교육의 부실화를 낳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결정과 시행 이후 사교육의 과목이 달라졌을 뿐 전체 사교육비는 줄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영어 절대평가 시행 전인 2016년 25만6,000원에서 절대평가가 첫 시행된 2017년 27만1,000원으로 5.9% 올랐다. 

 

이들은 또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발표와 시행 이후 학교 영어교육 위축은 심화하고 있다”고 했다. 그 근거로 영어 절대평가가 결정된 2015년 이후 공립 중등 영어교사 임용 비율이 다른 과목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각 시도교육청 공립 중등교사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분석에 따르면 영어 교사 채용은 2014년 672명이었지만 올해는 249명으로 2014년의 37.1% 수준에 그쳤다. 같은 기간 국어(59.9%), 수학(56.8%)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주장이다. 

 

협의회는 “이름뿐인 절대평가 대신 명실상부한 절대평가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절대평가의 준거 설정의 정교화, 교육과정과 연계된 문항 개발 등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연구가 전제돼야 한다”며 “동일 기초과목 중 영어만 절대평가가 적용되면 기초학력 균형과 국가 경쟁력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 동일 기초과목군의 수능평가는 반드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nswer 편집부] www.answerzone.co.kr​​ 


목록
샘플신청 자세히보기
목록보기
회사소개 제휴광고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사이트맵 해오름 앤써샵 블로그